제10회 아동권리영화제 <영화로운 작음>·<그 애> 프리뷰※이 기사는 제10회 아동권리영화제 본선 수상작들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에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그리고 또 다른 어딘가에서 전쟁으로 사람들이 죽는다는 뉴스를 계속 듣는다. 영상이나 사진 속에서 피 묻은 얼굴을 한 아이들의 모습도 본다. 그렇게 ‘전쟁’이라는 단어가 한국에서 살아가는 아동들에게도 가까이 다가왔다. 국제 아동권리 비정부기구(NGO) 세이브더칠드런이 주관하는 제10회 아동권리영화제가 11월 한 달간 열린다. 영화제 단편영화 공모전에서 본선에 오른 6편 중 다큐멘터리 <영화로운 작음>과 애니메이션 <그 애>는 10대 아동 감독들의 작품으로, 둘 다 ‘전쟁’을 소재로 했다.
제10회 아동권리영화제 본선 수상작 <영화로운 작음> 스틸컷 / 세이브더칠드런 제공
■아동의 시선에서 본 ‘전쟁’
<영화로운 작음>은 경기예술고등학교 3학년 권예하 감독(18)의 14분짜리 셀프 다큐멘터리다. 2011년 수단으로부터 독립한 남수단은 정치적 갈등으로 2013~2020년 내전을 겪었다. 권 감독은 열 살 때인 2016년 남수단 토리트 지역에 가족과 함께 전쟁을 겪는다. <영화로운 작음>은 감독 가족의 경험을 통해 전쟁이 사람들에게 무엇을 앗아가는지를 상기시킨다. 권 감독은 지난 11월 5일 전화 인터뷰에서 “전쟁은 사람들에게서 당연함을 빼앗고 회상을 남긴다”고 말했다.
제10회 아동권리영화제 본선 수상작 <영화로운 작음>을 연출한 권예하 감독 / 권예하 감독 제공
“저희가 살던 곳은 바람 소리와 빗소리가 자주 들리던 마을이었는데 총소리가 나니까 그 소리를 한동안 못 들었어요. 또 폭격이 가까워지면 대피를 해야 하니까 해를 못 보는 날이 많아졌고요. 무엇보다 매일 같이 놀자고 찾아왔던 친구들이 점점 줄어가는 게 제일 슬펐어요. 절대 없어지리라 생각해본 적 없던 일상이 가장 먼저 없어졌어요.”
토리트 지역에 사는 부루족은 “빗속에서 춤추고 나무 위에서 노래하던 사람들”이었다. 전쟁이 시작되고 마을은 완전히 변해버렸다. 모두가 문을 걸어 잠갔고, 거리엔 시신이 쌓였다. 학교가 곧 지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던 한 소년의 희망도 꺾였다. 나중에 들은 소식이지만 마을의 소년들은 소년병이 됐다.
“부루족 마을은 ‘슬프다’, ‘싫다’를 의미하는 단어가 굉장히 많아요. 그런데 ‘좋다’를 의미하는 단어는 딱 한 개밖에 없어요. 제가 사람들에게 왜 그러냐고 물었는데 오랫동안 ‘좋다’라는 말을 할 일이 없어서 그렇게 됐다고 답하더라고요. 내전 이전에도 북수단·남수단이 전쟁을 오래 했기 때문이에요. 이런 게 전쟁이 사람들에게 남기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권 감독은 가자지구 전쟁터에서 아이들을 구조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정말 나쁜 전쟁 속에서도 희망을 찾는 사람들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그리고 희망을 잃지 않는 사람들이 “‘좋다’라는 단어를 하루에도 몇 번씩 웃으면서 말했던 남수단 사람들과 겹쳐 보였다”고 말했다.
권 감독 가족은 전쟁이 길어지자 한국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남수단에서 탈출했다. 한국에 돌아온 가족은 ‘우리만 도망쳤다’는, 죄책감과 마주한다. 권 감독의 아빠는 빨간색 음식을 보면 피비린내가 나는 것같이 느끼는 경험을 했다고 말한다. 엄마는 천둥소리가 분명한데도 옆집 건물이 무너진 것 같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고 말한다. 권 감독은 “한국에 오고 전쟁이 일어나기 전 평화로운 일상을 떠올리려 했던 것 같고, 어떤 회상은 하기 싫은데 했던 것 같다”고 했다.
<영화로운 작음>은 권 감독 가족이 트라우마와 마주해 어떻게 삶을 이어갔는지를 담았다. 권 감독 부모는 심리학을 공부한 후 관련 전문가가 됐다. 권 감독은 ‘당연한 것들’, ‘작지만 중요한 것들’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고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영화로운 작음>은 감독 자신이 왜 영화를 찍느냐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만들었다. 권 감독은 <영화로운 작음>에서 자신이 영화를 찍는 것은 “작은 것들을 위한 시”라고 소개한다.
“한국에 오고 당연한 것들에 관해 많이 생각했어요. 예를 들면 남수단에선 메신저 앱으로 한 달에 한 번 정도 쓰면서, 문장 한두 개밖에 보낼 수 없었는데 한국에선 매일 사진·동영상까지 붙여서 보내는 게 너무 당연하더라고요. 다음 작품은 한국에서 당연하던 것이 당연하지 않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싶어요.”
제10회 아동권리영화제 본선 수상작 <그 애> 스틸컷 / 세이브더칠드런 제공
또 다른 본선 수상작 <그 애>는 10분짜리 단편 애니메이션이다. 어느 산속에 자리한 폐허에 패잔병 두 명이 찾아온다. 이 폐허에는 아이 한 명이 산다. 패잔병들의 등장에 잔뜩 겁을 먹은 아이와 그 아이의 흔적을 발견하고 혹시나 적일지 몰라 긴장하는 패잔병들의 모습이 교차해 나온다. 아이와 패잔병들은 서로를 겁먹게 하지만 마주할 수는 없다. 아이는 전쟁 속에 스러진 희생자였다.
<그 애>는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3학년 김시은(18)·강민하(18) 두 감독이 연출했다. 두 감독이 졸업작품을 고민하던 때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다. ‘전쟁’을 주제로 졸업작품을 만들기 시작했을 때 가자지구 전쟁 발발 소식을 접했다.
두 감독은 지난 11월 4일 전화 인터뷰에서 “아이들이 희생당하는 뉴스를 많이 보면서 전쟁의 피해자들, 그중에서도 아동들이 가장 큰 피해자란 생각을 했다”라고 말했다. <그 애> 속 아이는 “직접적인 전쟁의 피해자”를 상징하고, 패잔병 두 명은 “전쟁 그 자체를 나타내는 가해 집단으로서 군인과 목숨을 잃거나 육체적 부상, 정신적 고통을 경험하는 피해자 개인으로서의 군인”을 드러내고자 했다고 두 사람은 말했다.
<그 애>에서 아이가 자신이 죽었음을 자각하는 순간, 폭죽이 터지고 놀이동산 회전목마로 이동한다. 김시은 감독은 “비현실적인 상황 속에서 아름다운 장면이 펼쳐지는데 어떠한 예쁜 포장지를 사용해도 전쟁은 결국 참상만 남긴다는 것을, 아이들에게도 똑같은 상처가 남는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 애>는 아이가 미국 남북전쟁 당시 군인들의 향수를 불러일으켰던 ‘즐거운 나의 집’을 부르면서 시작된다. 또 전쟁 중 목숨을 잃은 이를 위한 추도곡인 모리스 라벨의 ‘쿠프랭의 무덤’과 ‘전쟁 소나타’로 불리는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 제6번’이 배경음악으로 삽입됐다. 강민하 감독은 “애니메이션은 사운드가 분위기를 이끄는 데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자료조사를 많이 해서 배경음악에도 의미를 담으려 노력했다”며 “전쟁에 관한 두려움, 불안감, 폭력성에 대한 공포가 담긴 곡들을 골랐다”고 설명했다.
제10회 아동권리영화제 본선 수상작 <그 애>를 연출한 김시은 감독(왼쪽)과 강민하 감독 / 김시은 감독 제공
<그 애>를 제작하는 동안 약 1년이 흘렀고, 두 사람은 ‘전쟁’에 관해 더 깊게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고 했다. 김시은 감독은 “전쟁 피해자들이 실재하는 사람들이고, 그들에게 삶이 있었다는 것을 느끼면서 (전쟁이) 피부로 와닿는 순간이 있었다”며 “우리나라도 전쟁에서 완전히 안전한 국가라고 할 수 없는 상황이니까, 인간에게 전쟁이 얼마나 공포스러운 일인가를 생각했다”고 했다. 그는 대학 진학 후에도 작품을 만든다면 ‘전쟁’이라는 주제를 계속 가져가고 싶다고 했다. 강민하 감독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으로 다음 작업을 이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아동들이 묻는다…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아동권리영화제는 2015년 아동 체벌 근절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시작해 올해로 10회를 맞았다. 올해 단편영화 공모전에는 234편이 출품됐는데, 본선 수상작으로 선정된 6편은 아동의 시선에서 세상에 질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유지인 감독의 <콘>은 기후위기 속 아동이 살아갈 미래에 관해 묻는다. 아이스크림을 사 먹을 때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컵’이 아닌 ‘콘’을 고르는 일곱 살 민우. 민우가 받고 싶은 선물을 어른들이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 아이스크림도 빙하도 녹는다.
곽승희 감독의 <네잎클로버>는 부모와 놀러 가는 것을 소원으로 둔 초등학생 아이의 네잎클로버 찾기를 따라간다. 바쁜 부모가 곁을 주지 않아서 방임되는 아이에게 흔한 세잎클로버처럼 다정하게 말을 걸어주는 어른이 있다면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헨젤: 두 개의 교복치마>(임지선 감독)와 <내 방>(한세하 감독)은 여성 청소년의 성장기를 그렸다. 가정환경의 차이, 친구관계, 학업 수행 등 주인공 각자가 현실적인 문제들을 마주하고 답을 찾는 과정을 좇는다.
영화제 10주년 기획 단편영화 <이세계소년>도 공개됐다.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을 연출한 김성호 감독 작품이다. 장애 아동의 기회를 가질 권리를 SF영화로 담았다. 본선 수상작들과 <이세계소년>은 영화제 홈페이지(www.sc.or.kr/crff)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오는 11월 16일과 23일에는 서울 성동구 메가박스 성수에서 각각 <이세계소년>과 본선 수상작품들을 상영하고 ‘관객과의 대화’(GV) 행사도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