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창민 감독 “‘행복의 나라’, 10.26 사건 아닌 시대의 이야기” [IS인터뷰]

3377TV정보人气:776시간:2024-08-19

추창민 감독. (사진=NEW 제공)
“제가 독재와 최루탄은 익숙하거든요. 한 번쯤은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사건이 아니라, 시대 이야기를요.”

추창민 감독은 새 영화 ‘행복의 나라’를 선보인 까닭을 묻자 이처럼 답했다. 

‘행복의 나라’는 1979년 10월 26일 상관 명령에 의해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육군 대령 박태주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불리한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의 이야기다. ‘광해, 왕이 된 남자’(2012)로 천만 관객을 만난 추창민 감독은 또 다시 역사의 이면을 조명했다.

‘행복의 나라’는 그가 전작 ‘7년의 밤’을 마치고 선택한 작품이다. 추 감독은 “10.26과 12.12라는 사건을 다룬 작품은 많지만, 그 사이에 벌어진 일은 숨겨진 이야기이기 때문에 ‘시대’를 이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시대성을 어떻게 보여줄지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극의 중심에 선 세 캐릭터는 실존 인물에 그대로 대입되지 않는다. 극 중 합수부장 전상두(유재명)는 배후에서 욕망대로 움직이는 그 시대 야만성을 상징하고, 그에 의해 불리한 재판을 받게 된 박태주(고 이선균)는 시대의 희생양이다. 그를 변호하는 정인후(조정석)는 당시 시민 정신을 대변한다.

추 감독은 “거대한 사건을 다루려면 사람들이 전부 알기에 사건이 중심돼야 했는데, 이 작품의 경우 인물들로 시대를 치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야기의 화자 정인후가 가상 인물이다 보니, 극 후반부에 역사적 중심인물이자 권력자 전상두와 독대하는 골프장 장면에서 감상평이 갈린다.

추 감독은 “누군가는 ‘시원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말이 돼?’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제게 그 장면은 ‘판타지’였다. 그 당시에 누군가는 항거했을 것”이라고 털어놨다. 전상두의 모티브가 되는 전두환이 골프장을 자주 다녔다는 실제 기록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덧대 프라이빗한 장소에서 야성을 드러내는 야만과 그를 꼬집는 장면으로 완성한 것. 

“아마 훨씬 더 낮고 밑에 있는 사람들이 권력을 향해 부당하다고 소리쳤을 겁니다. 그걸 (조)정석이가 해주면 좋겠다고 생각했죠. 시대로 치환해서 보시면 납득하실 수 있을 거예요.” 

추창민 감독. (사진=NEW 제공)

불과 수개월 전 ‘서울의 봄’(2023)이 같은 시대적 배경은 물론, 배우 황정민이 전두환 모티브 전두광 역으로 큰 인상을 남긴 만큼 필연적으로 함께 언급되는 것에 대해서는 “작품에는 영향이 없었다. 같은 소재지만 잘 만들면 사람들이 호응을 해주는구나 싶어 반가웠다”고 말했다.

극중 전상두는 겉으로는 점잖지만 숨어서 야욕을 드러내는 인물로 묘사된다. 추 감독은 “시대의 야만성으로 접근하니 훨씬 포괄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전두환 개인도 이면에 야비함과 치밀함이 있으리라 생각해 (유)재명 씨와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고 이선균이 연기한 박태주 캐릭터를 접근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추 감독은 “미화시켜서는 안 됐다. 실존 인물 박흥주 대령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라며 “시대에 희생된 인물이어도 정서적인 개인사를 가져오면 맥락이 틀어진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그는 영화를 ‘판타지의 산물’이라고 표현하면서도 역사적 사실을 가져올 때는 진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누군가는 작품을 통해 시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제가 바란 대로 관객이 보는 것은 아니고 해석은 각자의 몫인 거겠죠. 이런 시대가 있었으니까. 한 번쯤은 ‘그냥 그땐 그랬구나’ 봐주셨으면 합니다.”

이주인 기자 juin27@edaily.co.kr

사이트의 모든 비디오 및 이미지는 인터넷에서 수집되었으며, 원 저작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이 웹 사이트는 리소스 저장을 제공하지 않으며 녹화, 업로드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Copyright © 2024 www.jokeol.com All Rights Reserved
Telegram:@wgbaby